본문 바로가기
영화

레미제라블 뮤지컬영화, 줄거리 및 감상 [Les Miserables, 2012]

by lemonr 2023. 2. 23.
반응형

영화 Les Miserables, 2012

1. 영화 줄거리 (결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장발장은 배고픈 조카들을 위해 빵을 훔쳐, 죄가 크진 않으나, 4번의 탈옥을 시도한 것을 사유로 19년형을 선고받고 형을 다 채우고 세상에 나오게 됩니다. 다만 신분증 상에 전과의 기록이 있기 때문에 돈은 있지만 여관에도 식당에도 갈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장발장은 포기하며 교회로 갔습니다. 그러나 주교님이 따듯한 식사와 방을 마련해주었습니다. 장발장은 밤에 몰래 교회에서 고가의 물품을 훔쳐 도망치지만 결국 잡혀 다시 교회로 끌려왔습니다. 하지만 주교님은 죄를 묵인하고 장발장에게 선물해준 것이라고 말하고 은촛대마저 선물로 주었습니다. 이를 계기로 장발장은 세상을 선하게 살게 되었고, 가석방 선서를 어기면서 마들렌이라 이름을 바꾸고 살아갑니다. 선행과 공헌 덕에 새로운 신분으로 시장도 역임하게 되고 공장 주인도 되어 크게 성공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던 중 우연히 공장에서 일하던 판틴이 내쫓기는 상황을 보게 됩니다. 어린 딸 코제트를 양육하기 위해 공장에서 일했지만 어쩔 수 없이 돈을 벌기위해 몸을 팔게 되었습니다. 판틴은 약한 몸을 견디지 못하고 요절하게 됩니다. 판틴은 끝까지 코제트를 찾으며, 장발장에게 코제트를 부탁하고 생을 마감하게 되었습니다. 장발장은 코제트를 찾기 위해 가던 도중 수레에 깔린 두 사람을 구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 감옥에서 장발장을 감시하던 자베르도 마주치게 되었습니다. 자베르는 지금의 시장이 장발장인 것을 눈치채고 법정에 세우려고 노력하지만 다른 사람이 누명을 쓰게 되었습니다. 죄책감에 견디지 못한 장발장은 밤새 망설임끝에 법정에 나서지만 진범이 아니라면서 장발장을 쫓아 버립니다. 그러나 이를 믿지 않은 자베르는 끝까지 추격하고 체포하고자 했습니다. 그러나 코제트를 돌봐야 할 장발장은 다시 잡혔음에도 불구하고 판틴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탈옥하고 또다시 도망자 신세가 되었습니다. 그러게 혹독하게 양육받고 있던 코제트를 큰 돈을 주고 데려와 친딸처럼 키우며 파리에서 평안을 느끼고 있었습니다. 다만 언제 자베르가 찾아 낼지 알 수 없었기 때문에 집에만 기거하게 됩니다. 어느 덧 여인처럼 성숙해진 코제트는 어느날 우연히 밖을 나갔다가 마리우스를 보고 반하게 됩니다. 마리우스 또한 코제트에게 반함으로 서로의 사랑을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마리우스의 친구인 에포닌은 마리우스를 사랑하지만 사랑이 이뤄지지 못하고 총에 맞아 죽음을 맞이하게 됩니다. 마리우스는 혁명을 일으키려는 자였고, 그곳에서 목숨을 잃을 수도 있었습니다. 에포닌을 쫓아온 이들이 장발장의 존재도 알게 되면서, 서둘러 거주지를 떠나게 됩니다. 코제트와 마리우스는 생이별할 위기에 쳐해있었습니다. 그러나 장발장은 자신의 딸이 사랑에 빠진 것을 알았고, 장발장 스스로도 언제까지나 코제트를 지켜줄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면서 혁명에 나간 마리우스를 구출하려고 합니다. 이 과정속에서 혁명을 일으키려던 청년들을 도우던 장발장은 자베르와 그 현장에서 마주하게 됩니다. 운명의 장난인지 장발장이 자베르를 죽일 수도 있는 상황이었지만, 그는 서둘러 마리우스를 업고 빠져나오게 되었습니다. 

혼자 살아 남은 마리우스는 괴롭지만 자신을 구해준 코제트 아버지에게 감사함을 느낍니다. 그리고 사랑하는 이인 코제트와 결혼을 약속합니다. 자베르에게 쫓기는 장발장은, 코제트와 마리우스의 삶에서 빠져야 겠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래서 마리우스에게 모든 사실을 털어놓고 사라집니다. 

결혼식 당일, 장발장 없는 결혼식을 하는 데, 마리우스가 자신이 무사히 나올 수 있었던 것을 모두 코제트 그녀의 아버지라는 사실을 털어놓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코제트는 곧바로 장발장에게 달려갑니다. 많이 쇠약한 상태인 장발장은 죽기 직전에 딸과 그리고 사위를 보고 생을 마감할 수 있음에 신에게 감사하다고 합니다. 자신의 과거를 털어놓는 장발장은  이렇게 생을 마감하기에는 아직 이르다고 슬퍼하는 코제트 곁에서 결국 생을 마감하게 되었습니다. 

화면이 바뀌고 판틴이 나타나 장발장을 기다렸고 고맙다고 인사하면서 평화로운 세상으로 돌아갑니다. 실패할 줄말 알았던 혁명이 성공하고, 먼저 세상을 떠났던 인물들이 장말장을 마중나오며 함께 노래를 부르면서 영화가 끝을 맺습니다. 

2. 기억에 남는 영화 대사와 장면

"To love another person is to see the face of God." - 누군가를 사랑하는 것은 신의 얼굴을 보는 것이다. 

"A little fall of rain can hardly hurt me now." - 비 좀 맞는 다고 병에 걸리지 않아요.

"Do you hear the people sing?"  - 민중의 소리가 들리는가?

"Who am I ?" - 내가 누구인가?

"People can change." - 사람은 별할 수 있어 

"I dreamed a dream in time gone by When hope was high and life worth living." -지나가 버린 옛날 나는 꿈을 꾸었어요. 그때는 희망이 가득하고 삶은 살만한 가치가 있었죠. 

"Let us never fear robbers nor murders. Those are dangers from without, petty, dangers. let us fear ourselves." - 도둑이나 살인자를 두려워하지 말라 그것은 아주 작은 위험일 뿐이다. 두려운 것은 우리 자신이다. 

3. 전체적인 영화 감상

레미제라블은, 뮤지컬로도 영화로도 감명깊게 봤었다. 뮤지컬은 한국어판이 아니었기 때문에 사전 지식을 어느 정도 담고 가야 했는 데, 그 뒤에 영화를 보게 되면서 다시 한번 감명 깊었다. 장발장의 삶에는 '자신'이 없었다. 시작도 조카의 배고픔을 해결하기 위함이었고, 끝도 코제트의 행복을 위해서 물러남이었다. 그의 삶이 사랑으로 가득차있고 사랑을 알게 해주는 것 같다. 타인에게 조건 없는 사랑을 베풀 수 있는 그 용기를 우리는 알아야 하지 않을까, 누군가를 알기 시작하면 조건이 맞지 않으면 더 친해질 수 없고 더 가까이 갈 수 없는 현대인과는 사뭇 다른 그의 행동들을 본받아야 할 타이밍이 있지 않을까 생각하게 되었다. 장발장은 누군가의 필요가 있으면 그곳으로 향했다. 그가 원하지는 않았지만 그렇게 했다. 삶에 용기를 주고 사랑을 주고 삶은 고달펐지만 마음만은 행복이 가득했을 것 같다. 

레미제라블의 영화음악과 노래는 한 소절 한소절 생각을 하게 만드는 대사들이었다. 이를 듣다보면 저절로 그려지는 영화의 한장면, "Who am I?" 의 노래는 우리가 우리 스스로를 돌아보게 만드는 대사이기도 한 것 같다. 


[영화 참고 정보]
감독: 톰 후퍼
배우: 휴 잭맨(장발장), 앤 해서웨이(판틴), 러셀 크로우(자베르), 아만다 사이프리드(코제트), 헬레나 본햄카터(테나르디에), 에디 레드메인(마리우스), 사만다 바크스(에포닌)
영화개봉: 2012
상영시간: 158분
장르: 뮤지컬 로맨스 드라마 
* 12세 관람가 

반응형

댓글